사물은 불도량에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불구의 일종이다.
사물은 범종, 법고, 운판, 목어 등이다.
범종은 본래는 대중에게 시간을 알리는 도구로 사용하여 왔으나 예불시에 범종을 치면서 모든 지옥중생이 이 종소리를 듣고 이고득락하도록 발원하게 된 것이다. 범이란 바로 우주만물이며 진리이고 맑고 깨끗함이며 한 없이 넓고 크고 좋다는 뜻이다. 종송을 하는 이유는 미몽에 빠진 중생의 깊은 잠을 깨워주며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에게 극락세계의 장엄을 일러주고 귀의 발원하도록 하는 것이다.
"원하옵니다. 이 종소리가 시방법계에 두루하여 지옥속을 밝게 비추어 주고 삼악도에서 고통받는 모든 중생들은 고통을 여의옵고 검수지옥 도산지옥 모두 다 부서지고 일체 모든 중생들이 이 종소리 듣고 성불하게 하옵소서."
"이 종소리를 듣는 모든 중생들아 번뇌를 끊고 보리를 이루어 지옥을 떠나 모두 성불하여 중생을 제도 하여지이다."
이것이 종송을 하는 발원이며 소망이다.
불법을 북에 비유하여 법을 설하는 것을 북을 울린다고 한다. 이 말은 부처님의 교법이 널리 세간에 전하는 것을 북소리가 널리 퍼지는데 비유한 것이며 교법이 중생의 번뇌를 없애는 것이 마치 진치고 있던 군대들이 전진하라는 북소리가 울리면 적군을 무찌르는데 비유한 것이다. 또 붉을 치는 뜻은 축생들의 영혼(가죽이 있는 짐승들)을 위하여 법고를 친다고 한다.
목어는 나무를 깎아서 물고기 생긴 모양을 새겨 그 속이 비게 만들어서 송경할때와 그 밖에 불사에 치는 것인데 옛적의 목어는 그 생긴 모양과 용법이 후세의 것과 같이 않다고 한다. 목어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가) 교원청규에는 옛날 어떤 스님이 스승의 가르침을 어기고 법을 헐뜯은 까닭으로 죽어서 물고기가 되어 등에 나무가 나서 물결에 흔들리면 등에서 피가나고 아파서 고통이 심하였다. 어느날 스승이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 갈 때에 한 마리의 고기가 바다에서 몸을 나타내어 살았을 때 지은 죄를 참회하고 등에 난 나무를 없애 주기를 애걸하므로 스승이 수륙재를 지내고 천도하였다. 그 다음 스승의 꿈에 고기가 말하기를 이미 고기의 몸을 멋었으니 나의 나무를 회사하겠다 하므로 스승이 그 나무를 가지고 고기의 생긴 모양을 만들어 달아 놓고 대중을 경계하였다 한다. (나) 현장지귀곡에는 중국 당나라때의 역경가인 현장법사가 천축에서 돌아와서 촉도를 지나는데 한 장자가 상처하고 겨우 세살 난 아해가 있었다.
후모가 아해를 미워하여 장자가 사냥하러 나간 틈을 타서 다락 위에서 아해를 물 속에 던졌다. 장자가 이 사실을 알고 슬퍼하며 재를 베풀어 천도하려 할 때에 마침 현장법사를 만난지라. 장자가 가쁘게 맞아서 제1좌에 청하였더니 현장이 먹지 아니하고 말하기를 "내가 먼 길에서 오느라고 피곤하니 어육을 먹고저 하노라"하므로 좌석에 있던 여러 사람 모두가 크게 놀랐다. 장자가 고기를 사러 나가려 하니 현장이 부탁하기를 "큰 고기가 아니면 불가하다"하므로 장자가 현장의 말대로 큰고기를 사가지고 와서 도마 위에 놓고 자르려 할 때에 물에 던져 죽은 아해가 고기 뱃속에서 우는지라. 장자가 기뻐하므로 현장이 말하기를 "아해가 전생에 불살계를 가진 까닭으로 고기에 먹혔으나 지금까지 죽지 아니하였다."고 말하였다. 장자가 말하기를 "어찌하여 이 고기의 은혜를 갚겠느냐"하므로 현장이 말하기를 "나무에다 고기의 생긴 모양을 새겨서 절에 달아놓고 대중이 이것을 치면 가히 어덕을 갚을 것이라"하였으니 지금의 목어가 바로 이것이라 하였다. 또한 목어를 치는 것은 수중 고혼을 천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도 한다.
선종에서 제당이나 부엌에 달고 대중에게 공양시간을 알리던 기구이다. 청동으로 구름모양으로 주조하며 운판이라 이름한다. 또 운판을 치는 뜻은 공중에 있는 고혼과 날아다니는 조류계의 중생의 이고득락과 해탈을 위하여 친다고 전해오고 있다.